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임상진료지침정보센터

대한의학회


국내 임상진료지침

Home > 임상진료지침 > 국내 임상진료지침

* 기본정보

진료지침명 급성 뇌졸중의 병원 전 단계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II. 급성 뇌경색 환자의 이송 결정
개발조직명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개발참여자 오재상1*#, 조유나2*, 이종민3, 안홍석4, 김정재5, 장경민6, 윤기용7, 김장훈8, 서동욱9, 이형진10, 정진우11, 차경철12, 조용수13, 김수진14, 박종규15, 조원상16, 김훈10, 김영우1, 신승훈17, 이상원18, 이재환19, 김태곤17, 하성곤20, 박석규9, 권순찬3#
개발일자 시작일 : 2025-01-01 - 완료일 : 2025-05-20

* 추가정보

다학제 연구개발
진료지침 개발방식 근거분석 후 지침개발 (De nove)
학회내 인증 여부와 인증학회명 인증 (인증학회명 :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개발 학회 오재상
대한뇌혈관내치료의학회 임상진료지침이사 & 가톨릭대학교 신경외과 부교수
진료지침파일 KQ2.Zip
Keywords 급성뇌경색(acute ischemic stroke), 큰대뇌혈관폐색(large vessel occlusion), 기계적혈전제거술(mechanical thrombectomy), 정맥내혈전용해술(intravenous thrombolysis), 환자이송(transport)
Abstract
목적
환자를 혈전제거술 가능 센터로 직접 이송하는 모선 모델(mothership, MS) 과, 가장 가까운 일차 뇌졸중 센터에서 먼저 정맥내 혈전용해요법(intravenous thrombolysis, IVT) 을 시행한 뒤 혈전제거술을 위해 전원하는 드립-앤-십 모델(drip-and-ship, DS) 이 뇌졸중 환자 이송의 주된 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 대혈관 폐색(large vessel occlusion, LVO) 상황에서 적절한 이송 전략 선택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다.
방법
본 지침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의 근거를 바탕으로 de novo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네 개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Cochrane, KoreaMed)에서 MS와 DS 모델을 비교하는 세 개의 PICO(인구, 중재, 비교, 결과;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질문에 답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비뚤림 위험은 뉴캐슬-오타와 척도(Newcastle?Ottawa Scale) 로 평가하였다.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도식과 함께 기능 예후, 사망률, 성공적 재개통(recanalization) 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총 26개의 비무작위연구에서 MS 모델이 DS 모델에 비해 good functional outcome을 약 14%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즈비 odds ratio, OR 1.14; 95% 신뢰구간 confidence interval, CI 1.00?1.30)15개 연구에서는 MS와 DS 모델 간 mortality 차이가 없었다(OR 0.97; 95% CI 0.84?1.11). 24개 연구에서는 MS와 DS 모델 간 successful recanalization 차이가 없었다(OR 0.87; 95% CI 0.68?1.10). LVO 환자의 functional outcome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MS 모델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다만, 혈전용해 후 즉시 혈전제거술을 시행할 수 없거나 혈전제거술 가능 병원이 인근에 없는 경우에는, 이송 시간과 지역적 요인을 고려하여 뇌졸중 전문의가 DS 모델을 검토해야 한다. 급성 허혈성 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 AIS) 환자의 최적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상황과 지역에 따른 DS 모델의 혼합적 접근을 제안한다. 따라서, 지역별·상황별로는 MS 나 DS 모델을 병용하는 혼합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급성뇌경색 환자 치료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결론
대뇌혈관폐색환자의 치료를 위한 적절한 이송전략은 급성 뇌경색 환자의 예후를 개선한다.
* 타진료지침으로 부터 개작(adaptation) : 독자적인 임상질문에 따라 근거자료를 검색하고 평가하여 진료지침을 만드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에 개발된 다른 진료지침들을 검색하고 그 내용을 취합정리하여 진료지침을 만드는 방식

위로 가기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본부
  • 대한의사협회
  • 대한의학회
  • AGREE
  • Cochrane Methods Grading
  • GRADE Online Learning Module
  • G-I-N
  •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이 사이트는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의 초기 구축에 대한 일부 재정지원이 있었으며, 현재는 대한의학회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2008. 임상진료지침 정보센터. All rights reserved.

대한의학회 (0665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14길 42, 6층/7층 (서초동, 하이앤드타워)
  •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
  • 개인정보취급방침